맨위로가기

새뮤얼 마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뮤얼 마틴은 1924년 캔자스주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어 통역 장교로 복무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동양 언어학을 전공하고 예일 대학교에서 일본 언어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0년부터 1994년 은퇴까지 예일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동아시아 및 남아시아 언어학과, 언어학 학부 연구 책임자 등을 역임했다. 그는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예일 표기법을 고안하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 대응 연구를 통해 일본-조선 조어를 구축했으며, 중세 한국어 연구에도 기여했다. 1994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일본학자 - 도널드 리치
    도널드 리치는 일본 영화를 서구 사회에 소개하고 분석하는 데 크게 기여한 미국의 작가이자 영화 평론가이다.
  • 미국의 일본학자 - 제임스 커티스 헵번
    제임스 커티스 헵번은 일본에서 의료 활동과 교육 사업을 펼친 미국의 의사이자 선교사로, 일본 최초의 화영사전 편찬과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을 알리고 메이지 학원을 설립하여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 역사언어학자 - 헤르만 파울
    헤르만 파울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활동한 독일의 언어학자로, 청년 문법 학파와 교류하며 독일어 연구에 기여했고, 《언어사 원리》 등의 저서를 통해 비교언어학과 독일어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지만 유럽 중심적 관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역사언어학자 - 유시 할라아호
    유시 할라아호는 핀란드의 정치인이자 언어학자로, 핀란드인당 대표, 헬싱키 시의회 의원, 국회의원,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이민 정책 비판과 정치적 견해 피력으로 인종차별 혐의를 받기도 했다.
  • 한국어학자 - 주시경
    주시경은 황해도 출신으로 배재학당에서 교육받고 독립신문 활동을 통해 국어 운동에 참여하여 국문동식회를 조직, 국어 교육과 연구에 헌신하며 현대 한국어 문법의 토대를 구축한 한국어 연구의 선구자이자 근대 국어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 한국어학자 - 이병기 (1891년)
    이병기(1891년)는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시조 시인이자 국문학자로, 시조 부흥 운동을 펼치고 조선어 연구에 기여했으며, 전북대학교 문리대학장을 역임하다가 1968년에 사망했다.
새뮤얼 마틴
기본 정보
1994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을 받았을 때의 마틴
1994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을 받았을 때의 마틴
인물 정보
이름새뮤얼 엘모 마틴
출생1924년 1월 29일, 캔자스주 피츠버그
사망2009년 11월 28일, 워싱턴주 밴쿠버
거주지알 수 없음
국적미국
학력 및 경력
모교예일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직장예일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버나드 블로크
제자J. 마셜 웅거
업적
알려진 업적일본어, 한국어 연구
수상문화훈장 (1994년, 등급 불명)

2. 생애

새뮤얼 마틴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어 통역 장교로 훈련받은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예일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공부했다. 1950년 예일 대학교에서 일본어 형태음운론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예일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1994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 1953년에는 중국어중고음에 관한 연구를, 1966년에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음운 대응을 연구하여 일본-조선 조어를 구축했다. 1994년에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다.[1][2]

마틴은 한국어 로마자 표기 방식인 예일 표기법을 고안했으며,[5] 1967년에는 한국어 사전, 1969년에는 한국어 교과서를 출판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새뮤얼 마틴은 1924년 1월 29일 캔자스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나 캔자스주 임포리아에서 성장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어 통역 장교로 훈련받았으며, 전쟁 말기에 일본에 주둔했다.[2]

전쟁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입학하여 동양 언어학을 전공하고 1947년에 졸업했다. 자오 위안런 밑에서 언어학 석사 학위를 받기 위해 버클리에 남아 1949년에 학위를 마쳤다. 그 후 예일 대학교로 가서 버나드 블로흐 밑에서 일본 언어학 박사 과정을 공부했다. 1950년 일본 조형음운론에 관한 논문을 완성했고, 즉시 예일 대학교에서 자리를 제안받았다.[1][2]

2. 2. 학자로서의 경력

1950년 예일 대학교에서 일본어 형태음운론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직후, 예일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제안받아 1994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1][2] 1962년 극동 언어학 교수가 되었고, 동아시아 및 남아시아 언어학과와 언어학과를 모두 맡았다. 언어학 학부 연구 책임자 및 동아시아 언어 및 문학 대학원 연구 책임자로도 활동했다. 티모시 드와이트 칼리지(Timothy Dwight College)의 특별 연구원이었다.[1][2]

2. 3. 은퇴 이후

예일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 새뮤얼 마틴은 아내 낸시 렌델 마틴이 성장한 곳 근처인 워싱턴주 밴쿠버 근처로 이사했다. 딸 노라 마틴이 철학을 가르치는 오리건주 포틀랜드와 가까운 곳이었다.[2] 은퇴 후에도 중세 한국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학적 주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1994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다.[1][2]

3. 학문적 기여

1950년대부터 마틴은 일본어한국어의 표기법 및 로마자 표기법 문제, 다우르어(1961)와 류큐어의 쇼돈 방언(1970)을 연구하는 등 언어학적 연구를 확장했다. 또한 중국어의 음소, 만다린 중국어 음운론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66년 논문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적 증거"를 통해 비교 방법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한국어와 일본어가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한국어 음성 상징(1962)과 일본 및 한국의 화법(1964) 등 당시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주제에 대한 논문도 발표했다.

그의 기념비적인 저서 ''일본어 참고 문법''(Reference Grammar of Japanese)은 1975년에 출판되었으며, ''시간을 통해 본 일본어''(Japanese Language through Time)(1987)와 함께 일본어 문법과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1980년대에 중세 한국어 연구에 집중하여 ''한국어 참고 문법''(Reference Grammar of Korean, 1993)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20세기 한국어와 중세 한국어의 형태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여 한국어의 역사와 구조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귀중한 도구가 되었다.

마틴은 학술적인 언어학 저술 외에도 동아시아 언어 교육에 관심을 갖고, 초보자를 위한 여러 기초 텍스트와 사전을 저술했다. "조카" 또는 "사촌"을 지칭하는 성 중립적 용어인 nibling|니블링영어을 "sibling"(형제자매)이라는 단어에 빗대어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4]

3. 1. 초기 연구 (1950년대)

1950년대에 마틴은 일본어한국어의 표기법 및 로마자 표기법 문제에 대해 연구했다. 이 시기에 그는 한월어, 한자어, 한어에 대한 공통 명칭을 만들기 위해 "시노제닉"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1952년에 일본어 표기법에 대한 모노그래프를 출판했으며, 1954년에는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한글의 표기 개혁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이는 1954년 여러 한국 신문에 게재되었다.[5] 1954년에는 언어학자들이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한국어 음역 시스템인 예일 로마자 표기법을 고안했다. 이 시기에 그는 또한 중국어에 대한 중요한 기여를 했는데, 1953년에는 고대 중국어의 음소에 대한 모노그래프를 출판, 베른하르트 칼그렌의 고대 중국어 재구성을 수정했다. 1957년에는 만다린 중국어의 음운론에 대한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3. 2. 1960년대 연구

마틴은 다우르어(1961)와 류큐어의 쇼돈 방언(1970) 연구로 언어학적 연구를 확장했다. 1966년에 발표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 증거" 논문에서 비교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한국어와 일본어가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4] 그는 또한 한국어의 음성 상징(1962)과 일본 및 한국의 화법(1964) 등 당시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주제에 대한 논문도 발표했다.

3. 3. 주요 저서


  • The Phonemes of Ancient Chinese|고대 중국어의 음소|영어 (1953), 미국 동양학회 출판.
  • Lexical Evidence Relating Korean to Japanese|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적 증거|영어 (1966), Language, Vol.12, 185-251.
  • A Reference Grammar of Japanese|일본어 참고 문법|영어 (1975), 예일 대학교 출판부 출판 (ISBN 0-300-01813-4). 1988년 개정판은 Charles E. Tuttle Company에서 출판되었고, 2003년에 하와이 대학교에서 재판되었다.
  • A Reference Grammar of Korean: A Complete Guide to the Grammar and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한국어 참고 문법: 한국어의 문법과 역사에 대한 완벽한 가이드|영어 (1993), Charles E. Tuttle 출판 (ISBN 0-8048-1887-8). 2006년 개정판 (ISBN 0-8048-3771-6).
  • The Japanese Language Through Time|시간을 통해 본 일본어|영어 (1987), 예일 대학교 출판부 출판 (ISBN 0-300-03729-5).

3. 4. 중세 한국어 연구 (1980년대)

1980년대에 마틴은 중세 한국어 연구에 집중하여 15세기와 16세기의 수많은 한국어 텍스트를 상세히 분석했으며, 이를 중세 한국어의 언어 구조 및 예시 데이터베이스의 기반으로 사용했다. 이 연구는 그의 기념비적인 저서인 ''한국어 참고 문법''(Reference Grammar of Korean, 1993)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20세기 한국어와 중세 한국어의 형태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여 한국어의 역사와 구조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귀중한 도구가 되었다.[4]

3. 5. 기타

새뮤얼 마틴은 학술적인 언어학 저술 외에도 동아시아 언어 교육에 관심을 갖고, 초보자를 위한 여러 기초 텍스트와 사전을 저술했다. "조카" 또는 "사촌"을 지칭하는 성 중립적 용어인 "nibling"을 "sibling"(형제자매)이라는 단어에 빗대어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4] 1968년 다른 학자들과 더불어 100,000단어를 수록한 『한미대사전』을 편찬하였다. 1992년 역사적인 설명을 포함한 『한국어문법총람』(제2부 문법사전)을 편찬하였다.

4. 저작 목록

Samuel Martin영어의 저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출판사ISBN
1951Korean in a Hurry: A Quick Approach to Spoken Korean영어Tuttle Publishing일본어
1966"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적 증거" (Language영어 12)
1975A Reference Grammar of Japanese영어Yale University Press영어
1975A Korean-English Dictionary영어Yale University Press영어
1975"한국어와 일본어의 선사시대 관계 정립의 문제점" (한국 해방 3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 논문집)대한민국 학술원
1982"초기 한국어의 자음 구분에 대하여" (한글 175)
1987The Japanese Language through Time영어Yale University Press영어
1990"일본어와 한국어의 관계에 대한 형태학적 단서" (Linguistic Change and Reconstruction Methodologyde)de Gruyter영어
1990"한국어 음운 규칙의 변화 시기에 대하여" (Bochumer Jahrbuch zur Ostasienforschungde 14)
1991"일본어와 한국어의 관계에 대한 최근 연구" (Sprung from Some Common Source: Investigations into the Prehistory of Languages영어)Stanford University Press영어
1992Essential Japanese: An Introduction to the Standard Colloquial Language영어 (개정 3판)Tuttle Publishing영어
1993A Reference Grammar of Korean: A Complete Guide to the Grammar and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영어Charles E. Tuttle영어
1995"한국어 동사 형태의 선사시대에 대하여" (Korean Studies영어 19)
1996Consonant Lenition in Korean and the Macro-Altaic Question영어University of Hawaii Press영어
1996"중세 한국어 존대 표지 -ngi" (이긔문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총)신구문화사
1997"한국어는 중세 중국어에서 -t로 끝나는 단어를 어떻게 -l로 받았는가?"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영어 6)
1997"한국어 동사의 비알타이어적 특징" (Japanese/Korean Linguistics영어, Volume 6)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s and Information, Stanford University영어
2000"한국어 모음은 시간을 통해 어떻게 변화했는가?" (Korean Linguistics영어 10)
2002"오고 가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직시 동사"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ssays in Honor of Young-Key Kim-Renaud영어)Ppagijong Press한국어
1953고대 중국어의 음소중국어미국 동양학회


참조

[1] 웹사이트 In Memoriam: Samuel Martin, Illuminated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http://opa.yale.edu/[...] Yale University Office of Public Affairs 2010-01-15
[2] 웹사이트 Obituary: Samuel E. Martin https://linguistlist[...] 2010-01-17
[3] 웹사이트 Words We're Watching: 'Nibling' An efficient word for your sibling's kids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3-01-28
[4] 웹사이트 Obituary: Samuel E. Martin http://linguistlist.[...] 2010-01-17
[5] 서적 Korean Morphophonemic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